Dataset Viewer
Auto-converted to Parquet
text
stringlengths
0
512
# 추출 정보
원본 파일: (24-01) 화물열차 사고로 인한 위험물 유출.pdf
페이지 수: 54
문자 수: 35,503
추출 시간: 2025-07-19 04:27:55
처리 시간: 14.84초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-- 페이지 3 ---
목 차
Ⅰ. 들어가며 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 1
Ⅱ. 화물열차 위험물 유출의 위험영향 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 9
Ⅲ. 화물열차 위험물 운송 관련 위험요인 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 17
Ⅳ. 앞으로 할 일 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 27
Ⅴ. 재난 전개 시나리오 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 35
Ⅵ. 맺으며 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 39
참고문헌 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· 43
--- 페이지 5 ---
들어가며
--- 페이지 6 ---
Ⅰ. 들어가며 2
들어가며
1 배배배배배배배경경경경경경경 및및및및및및및 현현현현현현현황황황황황황황
대량수송성 및 친환경성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수송은 도로 운송을 보완하는
주요 운송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
- (대량수송성) 화물열차는 도로 운송수단 대비 1회 수송량이 월등히 많음
※ 1회 수송량: (대형 트레일러) 약 24톤, (일반 화물열차) 약 800톤
【 대형 트레일러(좌)와 일반 화물열차(우) 수송력 비교 】
※ 출처: 국토교통부 YouTube
- (친환경성) 철도의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*는 도로수송 대비 약 1/26 수준이며,
사회 환경적 비용 원단위**는 1/3 수준으로 도로대비 친환경성 입증1)
*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: 철도 8, 도로 209 / 단위: tCO eq/1백만톤·km
2
** 사회환경적(대기오염, 온실가스, 소음, 사고, 혼잡) 비용 원단위: 철도 42.25, 도로
123.09 / 단위: 원/톤·km(’18년 기준)
【 미국 운송수단별 온실가스 배출 비율(2021) 】
※ 출처: Association of American Railroads
1)제2차철도물류산업육성계획(‘23.4.)
--- 페이지 7 ---
3 Ⅰ. 들어가며
최근 해외에선 화물열차로 수송된 위험물로 인한 대형 사고가 다수 발생하여
지역사회에 막대한 인명·재산 피해 발생
- (미국) ’23년에만 수차례* 화물열차의 위험물 누출 사고로 대형 피해가 발생
* (’23.2.) 오하이오주 이스트팔레스타인에서 유독물질 적재(염화비닐 5량) 화물열차
탈선으로 화재, 주민 2,000명 대피
(’23.3.) 미네소타주레이몬드에서에탄올을실은화차10량탈선으로화재, 주민800여명대피
(’23.11.) 켄터키주에서 액체 유황을 실은 화차 탈선으로 화재, 주민 200여 명 대피
- (유럽) 화물열차 충돌 및 위험물 누출 사고로 인해 대규모 사상자 발생
※ (’22.12.) 세르비아에서 화물열차 내 암모니아 누출로 인해 50여 명 중독 증세
(’23.2.) 그리스에서 화물열차와 여객열차 충돌·화재로 인해 약 50여 명 사망
국내에서도 탈선 등 화물열차 관련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위험물 유출로
인한 국내 대형 철도 사고의 발생 가능성 내재
- 국내 주요 철도 사고 차종은 화물열차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,
최근 국내 화물열차 관련 사고가 증가 추세를 보임
※ 최근 10년(’13~’22년)간 차종별 주요 사고 발생 건수는 화물열차(23건), 전동열차(16건),
여객열차(14건) 순으로 나타남(항공·철도사고조사위원회, ’23.11.)
※ ’23년 코레일 화물열차 탈선사고 발생 건수는 1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배
증가(국토교통부 보도참고자료, ’23.10.18.)
【 최근 10년(’13~’22)간 차종별 주요 사고 발생 분포(좌), 최근 3년간 화물열차 탈선사고 통계(우) 】
※ 출처: 좌) 항공·철도사고조사위원회 우) 국토교통부 참고자료 재가공
--- 페이지 8 ---
Ⅰ. 들어가며 4
과거 국내서도 위험물을 운송하는 화물열차가 폭발했던 대형 재난*도 있었던 만큼,
현재 위험물 수송 화물열차의 안전관리 체계를 다시 한번 짚어볼 필요가 있음
- 최근 탈선 등 철도안전사고의 증가 추세로 위험물 유출에 대한 발생 가능성 증가
- 철도 운송 시 위험물이 유출될 경우 화재, 폭발뿐 아니라 독성가스 누출
등 지역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
- 화물열차의 위험물 운송 관련 사고는 파급력이 크지만, 과거 발생 사례가 적어
사고 데이터의 축적이 어렵고 화물열차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부족하다는
점에서 철도운송 위험물이 잠재 재난위험요소로 분석하는 데 의의가 있음
*과거 국내 화물열차 재난 사례
이리역 화물열차 폭발사고(’77.11.)
‧ 1977년 11월 11일, 사고열차 수송원이 켜 놓은 촛불이 화약상자에 옮겨 붙으면서
폭발이 발생, 이 사고로 59명 사망, 중상 185명, 경상 1,158명의 인명 피해 및 가옥파괴
7,866동 등 대형피해 발생
【 이리역 화물열차 폭발사고(1977.11.) 】
※ 출처: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
본 보고서는 1)우리나라에 위험물을 수송하는 화물열차의 사고 영향, 2) 국내
화물열차의 위험물 운송 관련 위험요인과 3)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함
--- 페이지 9 ---
5 Ⅰ. 들어가며
참참참참참참참고고고고고고고 국국국국국국국내내내내내내내 위위위위위위위험험험험험험험물물물물물물물 화화화화화화화물물물물물물물열열열열열열열차차차차차차차 수수수수수수수송송송송송송송 현현현현현현현황황황황황황황
- 철도로 운송되는 위험물*에는 전용용기를 통해 운송되는 유류, 프로필렌,
황산과 범용용기(컨테이너 등)로 운송되는 위험물이 있음
* 「위험물안전관리법」, 「화학물질관리법」 등 다양한 법령에서 위험물질을 ‘위험물’,
‘유해화학물질’ 등 다양한 용어로 정의하고 있으나 본 보고서에선 ‘위험물’을
End of preview. Expand in Data Studio

Safety RAG Data

이 데이터셋은 https://github.com/singbong/safety_rag/tree/master 에서 구축한 RAG 시스템의 핵심 학습 및 검색 데이터로 사용되었습니다. 시스템 상세 및 코드 구현 예시는 프로젝트 깃허브 저장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This dataset was used as core training and retrieval data for the RAG system built at https://github.com/singbong/safety_rag/tree/master. You can find system details and code implementation examples in the project GitHub repository.

본 데이터는 안전 분야 RAG 시스템 학습 및 검색, AI 기반 안전 안내문 생성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.

Downloads last month
176